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날씨

곡성
소통

  • 페이스북
  • 유튜브
  • 블로그
  • 인스타그램
  • 카카오톡

지명유래

본문

석곡면 지명유래

월봉마을(月峰) 봉암마을(鳳岩) 흥지마을(興旨) 능파마을(凌波) 능암마을(凌岩) 덕동마을(德洞) 대흥마을(大興) 당지마을(當旨) 월계마을(月桂) 마산마을(馬山) 용주마을(龍珠) 방주마을(芳州) 상송마을(上松) 하송마을(下松) 여운마을(如雲) 용반마을(龍盤) 연동마을(蓮洞) 전기마을(田基) 죽산마을(竹山) 온수마을(溫水) 노치마을(老峙) 을곡마을(乙谷) 염촌마을(念村) 기동마을(基洞) 행정마을(杏亭) 유평마을(柳坪) 홍척마을(紅尺) 등구마을(登九) 봉림마을(鳳林) 두지마을(斗旨)
석곡1리 월봉(月峰)마을
마을터가 하천변이므로 돌이 많다. 그래서 ‘돌실’이라 칭했는데 그 후 마을 동쪽에 있는 달봉산(月峰山) 이름을 따서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월봉(月峰)’이라고 명명(命名)하여 부르게 되었다.
석곡2리 흥지(興旨)마을
옛날 마을 중심부에 10여호(戶)가 부유하게 살고 있었는데 ‘마을의 부흥(富興)을 기원’하는 뜻에서‘흥지(興旨)’라고 불렀다고 전해온다. 또 마을 남쪽에 옛 역원(驛院)이 설치된 곳이라 ‘원촌(院村)’이라고 불리기도 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다시 ‘흥지(興旨)마을’로 부르게 되었다.
능파1리 능파(凌波)마을
마을뒤 달봉(月峰)기슭에 보성강(寶城江)이 굽이쳐 흐르는 경치 좋은 곳에 능암(凌岩)마을을 설촌한 평산신씨(平山申氏) 가문의 신대년(申大年)이 정자를 세워 ‘능파정(凌波亭)’이라 불렀다. 이러한 연유로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마을이름을 ‘능파(凌波)’라 명명(命名)하게 되었다.
능파2리 능암(凌岩)마을
석곡면 소재지에 자리잡은 4개마을(월봉, 흥지, 능파, 능암)중 하나로, 소재지의 중심부를 지나는 도로의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의 서쪽으로 한동산(漢東山)이 솟아 있고, 마을 앞쪽으로 보성강(寶城江: 대황강)이 흐르고 있다.
덕흥1리 덕동(德洞)마을
마을뒤에 ‘망덕산(望德山)’이 솟아 있고 옆으로 ‘기동(基洞)골’이 있다 해서 ‘덕동(德洞)’이라 불렀다. 그리고 이곳에 있는 ‘대흥(大興)’이란 마을과 마을뒤 마당제에 있는 ‘풍치리(風峙里)’를 합해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덕흥리(德興里)’라 부르게 되었다. 그러나 1997년 다시 대흥마을이 분리되면서 덕흥1리가 되었다.
덕흥2리 대흥(大興)마을
마을뒤에 ‘망덕산(望德山)’이 솟아 있고 옆으로 ‘기동(基洞)골’이 있다 해서 ‘덕동(德洞)’이라 불렀다. 그리고 이곳에 있는 ‘대흥(大興)’이란 마을과 마을뒤 마당제에 있는 ‘풍치리(風峙里)’를 합해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덕흥리(德興里)’라 부르게 되었다. 1997년 덕흥2리로 다시 분리되었다. 대흥리의 원래 지명으로는 ‘업남정’ 또는 ‘업남쟁이’라고 불러왔다. 이는 마을앞에 아름드리 ‘업나무’가 서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당월1리 당지(當旨)마을
고려시대(高麗時代)부터 조선조 초기(初期)까지 마을앞에 관청(官廳)이 있었고 그 관원(官員)들의 마을인 당촌(堂村)이 자리잡고 있었다 하여 ‘당머리’라 부르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당지(堂旨)’로 바꾸게 되었다. 또한 ‘당지(堂旨)’와 ‘월계(月桂)’마을에서 각각 한자씩 취해 ‘당월(堂月)’마을이라 칭하고 당월1리가 되었다.
당월2리 월계(月桂)마을
마을뒤에 월봉산(月峰山)이 있고 마을형국이 ‘달에 박힌 계수나무(桂) 같다’하여 ‘월계(月桂)’라고 명명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당월2리(堂月2里)로 되었다.
당월3리 마산(馬山)마을
취락구조개선으로 새마을사업을 시작하면서 마을 이름을 지으려고 당시 마을의 이기우(李基釪) 이장이 곡성군수(谷城郡守)와 협의, 새마을터가‘마산(馬山)골’에 자리잡고 있어 ‘마산(馬山)마을’로 명명(命名)했다. 1980년 행정구역조정(行政區域調定)시 당월3구가 되었다.
방송1리 용주(龍珠)마을
옛날 마을 주변에서 무쇠가 나와 ‘무수골’이라 불렀으나 그 후 이 마을 지형이 ‘용(龍)이 여의주(如意珠)를 물고 있는 형국이다’하여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용주(龍珠)’라 이름지었다.
방송2리 방주(芳州)마을
마을 가까이 큰 연못(蓮池)이 있어 마을 이름을 ‘방죽물’, ‘방죽굴’ 또는 ‘방연(芳淵)몰’이라 불리다가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해 ‘방주(芳州)’로 개칭하였다.
방송3리 상송(上松)마을
홍수(洪水)로 인하여 은흥사(恩興寺)에서 소나무와 정자나무가 떠내려와서 자라게 되어 마을 이름을 소나무 송(松)자와 정자나무 정(亭)자를 따서 ‘송정리(松亭里)’라 불렀으며 구역이 웃돔, 아랫돔으로 갈라져 있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시 상송리(上松里)로 부르게 되었다.
방송4리 하송(下松)마을
홍수(洪水)로 인하여 은흥사(恩興寺)에서 소나무와 정자나무가 떠내려와서 자라게 되어 마을 이름을 소나무 송(松)자와 정자나무 정(亭)자를 따서 ‘송정리(松亭里)’라 불렀으며 구역이 웃돔, 아랫돔으로 갈라져 있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시 하송리(下松里)로 부르게 되었다.
연반1리 여운(如雲)마을
마을 위쪽 국사봉(國師峰, 682m) 중턱에 암자가 하나 있었는데, 이곳은 지형이 높은 곳으로 구름이 끼여 있을 때가 많아 이름하여 ‘여운암(如雲庵)’이라 불리었다. 난을 피해 이곳에 정착한 허씨(許氏), 구씨(具氏)는 암자의 이름 그대로 마을이름을 ‘여운암(如雲庵)’이라 호칭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여운(如雲)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연반2리 용반(龍盤)마을
마을뒤 운용(雲龍), 반용(盤龍)이라는 명당자리가 있다는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에 의하여 운용의 용(龍)자와 반용의 반(盤)자를 따서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용반(龍盤)’이라 호칭하였다.
연반3리 연동(蓮洞)마을
옛날 마을 앞에 장터가 있었음으로 ‘장골’이라 불렀다가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로 이곳이 연하도수혈(蓮荷倒穴)의 명당이라 해서 ‘연하동(蓮荷洞)’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연동(蓮洞)으로 개칭했다.
연반4리 전기(田基)마을
‘밭터우’라고 불러왔으며, 마을형국이 비봉포란(飛鳳抱卵) 형국이라 하여‘비봉(飛鳳)’이라고도 불렀다.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로는 봉혈(鳳穴)이면 알이 있어야 좋다고 하여, 마을 앞에 두 세개의 알 모양의 둥근 흙무덤을 쌓아 ‘봉란(鳳卵)’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밭터우’를 ‘전기리(田基里)’로 한자화해 부르게 되었다.
죽산리 죽산(竹山)마을
설촌자 최홍민(崔弘岷)이 자기 시조의 아호(雅號)에서 죽(竹)자를 따고 전주(全州)를 완산(完山)이라고도 함으로 본관인 완산(完山)의 산(山)자를 따서 1840년 ‘죽산(竹山)’이라 명명(命名)하였다.
온수1,2리 온수(溫水)마을
마을 뒤 옥류동(玉流洞)이란 곳에서 온천수(溫泉水)가 나왔다고 해서 온수동(溫水洞)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온수1, 2리(溫水1, 2里)로 되었다. 해방 이후 윗마을과 아랫마을이 합쳐지기도 했으나 1960년대 초 다시 분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염곡1리 노치(老峙)마을
마을 뒤로 넘어가는 재를 노치(老峙)라 부르고 있는데, 이 재의 이름을 따서 노치(老峙)마을이라 부른다. 1965년 행정구역조정(行政區域調定)에 의하여 염곡1리(念谷1里)가 되었다.
염곡2리 을곡(乙谷)마을
염촌(念村)과 같은 마을이었으나 마을 규모가 너무 커서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분리 ‘을곡(乙谷)’이라 이름지어 불리게 되었다. ‘을곡(乙谷)’이란 마을이름의 연유는 ‘산골로 새 소리가 요란하다’하여 ‘새 을(乙)’자를 따서 지었다고 하며 1965년 행정구역조정(行政區域調定) 당시 염촌(念村)과 을곡(乙谷)의 앞 뒤자를 따서 ‘염곡(念谷)’이라 명명했으며, 을곡은 염곡2리(念谷2里)로 부르게 되었다.
염곡3리 염촌(念村)마을
마을 뒤에 속칭 빈대절이란 사찰이 있었는데 이 절에 속하는 염불암(念佛庵)이 마을 가까이에 있었음으로 이 암자(庵子)의 이름 그대로를 마을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염촌(念村)으로 개칭하고 1965년 행정구역조정(行政區域調定)에 의하여 염곡3구(念谷3區)가 되었다.
염곡4리 기동(基洞)마을
‘옛날부터 마을터 였다’하여 ‘텃골’이라 불리다가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한자명으로 ‘기동(基洞)’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1965년 행정구역조정(行政區域調定)시 염곡4리(念谷4里)가 되었다.
유정1리 행정(杏亭)마을
마을앞 우물가에 ‘큰 살구나무’가 있어 ‘행정(杏亭)’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유평(柳坪)마을의 ‘유(柳)’와 행정(杏亭)마을의 ‘정(亭)’자를 취해 유정1리(柳亭1里)가 되었다.
유정2리 유평(柳坪)마을
유평리(柳坪里)는 본래 ‘갓(笠)머리’였으나 1857년 대홍수(大洪水)로 전 마을이 유실됨으로 인해 새 터를 잡아 주거를 옮겨 마을을 ‘새터’라 칭하다가 마을앞 들녘 명칭인 ‘버듬들’을 따라 마을이름을 한자로 고쳐 ‘유평(柳坪)’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유평리(柳坪里) 유(柳)와 행정리(杏亭里) 정(亭)자를 따서 유정2리(柳亭2里)로 호칭하게 되었다.
구봉1리 홍척(紅尺)마을
마을터 주변이 붉은(紅) 황토로 둘러쌓여 있으며 또한 지형이 자(尺)처럼 길게 늘어진 곳이라 해서 홍척(紅尺)이라 이름지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시 구봉1리(九峰1里)로 개칭하게 되었다.
구봉2리 등구(登九)마을
마을의 지형이 거북이가 동네 앞산인 구산(龜山) 또는 구봉산(九峰山)을 보고 기어 올라가는 형국이라 하여 ‘등구정(登九亭)’이라 불렀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당시 구봉2리(九峰2里)로 개칭하게 되었다.
구봉3리 봉림(鳳林)마을
뒤로는 한동산(漢東山, 647.9m)의 주봉(主峯)이 있고 오른편에 구산(龜山)이 뻗어 그 형국이 ‘봉황(鳳凰)이 날개를 펴고 있는 것 같다’하여 ‘봉림(鳳林)’이라 호칭하게 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구봉3리(九峰3里)로 개칭하게 되었다.
봉전1리 두지(斗旨)마을
마을형국이 ‘마치 두지속 같다’해서 ‘두지동(斗旨洞)’이라고 이름지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봉전1리(鳳田1里)라 개칭하였다.
봉전2리 봉암(鳳岩)마을
마을뒷산에 ‘벌통바위(蜂岩)’가 있어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에 따라 ‘마을에 미치는 힘이 크다’고 하여 한자음으로 고쳐 ‘봉암(蜂岩)’이라 불리어 오다가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의하여 봉전2리(鳳田2里)라 개칭하였다.

콘텐츠관리

  • 담당부서 석곡면
  • 담당자 김다빈
  • 연락처 061-360-7413
  • 최종수정일 2024-01-26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