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날씨

곡성
소통

  • 페이스북
  • 유튜브
  • 블로그
  • 인스타그램
  • 카카오톡

지명유래

본문

죽곡면 지명유래

태평1구(하죽리), 태평2구(태평리), 화양리, 봉정1구, 봉정2구, 봉정3구, 신풍1구, 신풍2구, 연화리, 삼태리, 당동1구, 당동2구, 당동3구, 남양리, 유봉1구, 유봉2구, 동계1구, 동계2구, 동계3구, 원달1구, 원달2구, 고치리, 용정1구, 용정2구, 하한1구, 하한2구, 하한3구
태평1구 하죽(下竹)마을
마을에 죽림(竹林)이 무성하며 지형이 평지이고 산수(山水)가 좋아 황씨(黃氏), 김씨(金氏), 최씨(崔氏)등 삼성(三姓)이 논의하여 ‘하죽(下竹)’ 또는 ‘하대실’이라 마을명을 불러 오다가 1914년 하죽리(下竹里)와 태평리(太平里)를 합하여 태평리(太平里)라 개칭하게 되었다.
태평2구 태평(太平)마을
마을 앞으로 대황강이 흐르고 뒷산을 등에 업고 평평한 곳에 터를 잡았다 하여 마을명을 ‘태평리(太平里)’라 명명했다. 그후 1914년 하죽리(下竹里)와 태평리(太平里)를 합하여 태평리(太平里)로 개칭하게 되었다.
태평3구 강빛마을
화장산(華藏山) 아래에 자리 잡은 강빛마을은 마을에서 바라보는 보성강 줄기가 빛이 날 만큼 수려하다 하여 강빛마을이라 하였다.
화양리 화양(華陽)마을
화장산(華藏山)이 마을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하여 화양리(華陽里)라 하였다. 화양(華陽)리 북쪽의 반계촌(磻溪村)과, 서남간(西南間)에 자리잡은 기동(基洞)마을을 1914년 행정구역폐합(行政區域廢合)에 따라 화양리(華陽里)라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봉정1구 봉정(鳳停)마을
봉(鳳)은 대나무열매(竹實)를 먹고 살며, 오동(梧桐)나무 가지에만 앉으므로 대나무 밭과 오동나무 밭이 있었다 하며, 지세가 비봉포란형(飛鳳抱卵形)의 명당터로 장자등(莊子嶝)은 봉(鳳)의 몸통이요, 천덕산 통명산은 봉(鳳)의 날개, 단산등(丹山嶝)은 봉(鳳)의 머리, 마을 앞의 큰 바위를 봉(鳳)의 알 형태로 풀이 해 봉정리(鳳停里)라 명명했다고 전해온다.
봉정2구 죽성(竹城)마을
지세가 봉(鳳)의 형체를 하고 있다하여 봉정(鳳停)이라 칭하였다 전한다. 봉(鳳)은 대나무 열매(竹實)를 먹고 살아가므로 주변에 대밭(竹田)을 크게 이루고 있다 하여 ‘죽성(竹城)’이라 불려지고 있다.
봉정3구 덕양(德陽)마을
봉(鳳)은 대나무열매(竹實)만을 먹고 살며 오동(梧桐)나무 가지에만 앉으므로 오동나무 밭이 마을뒤에 있었다 하며, 마을 터에 장절공 신숭겸 장군(壯節公申崇謙將軍)의 사우(祠宇)인 덕양사(德陽祠)가 위치하여 덕양(德陽)마을이라 불렀다 한다.
신풍1구 신풍(新豊)마을
‘새로 마을을 이루고 풍년(豊年)을 빈다’는 뜻으로 ‘신풍(新豊)’이라 명명했다. 신풍리(新豊里), 반송리(盤松里), 죽성리(竹城里) 일부를 합쳐 1914년 행정구역 폐합(行政區域廢合)에 따라 ‘신풍리’라 칭하고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신풍마을이 신풍1리에 해당된다.
신풍2구 반송(盤松)마을
반송리라는 마을명칭은 반송사(盤松寺)라는 사찰이 자리잡고 있었던 터전에 설촌했다고 하여 반송리라는 마을명을 취하게 되었다고 전한다. 반송사(盤松寺)는 고려말에 건립되었던 것으로 전해올 뿐 사찰의 창건 내력은 현재로써는 알 수 없다.
연화리 연화(蓮花)마을
예전엔 마을에 연못이 있었는데 연꽃이 많이 피므로 ‘연못몰’ 또는 ‘연화(蓮花)’라 불러왔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行政區域廢合)에 따라 매화동(梅花洞)의 일부를 병합하여 연화리(蓮花里)라 칭하게 되었다.
삼태리 삼태(三台)마을
마을뒤로 고장골(庫藏골), 화장산(華藏山), 석장골(石藏골)의 ‘삼장(三藏)’이 있고, 좌우에 삼봉(三峰)이 있는데, 연속 삼봉(三峰)이 전면에 위치하였으므로 마을명을 삼태(三台)라 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당동1구 당동(堂洞)마을
마을 일대는 백제시대 욕내현(浴乃縣)의 치소(治所)가 자리잡고 있었던 지역으로 이 지역을 조선시대 곡물 보관 대여 기관인 ‘사창(社倉)’이 있어 ‘사창(社倉)’이라고 불러 오다가 조선조말(朝鮮朝末)에 이르러 교동(校洞), 서정(西亭), 죽천(竹泉), 본토(本土) 등으로 마을 이름을 분리해 부르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폐합(行政區域廢合) 당시 당동리(堂洞里)로 개칭하여 교동(校洞)을 당동1리(堂洞1里)로 부르고 있다.
당동2구 서정(西亭)마을
마을 일대는 백제시대 욕내현(浴乃縣)의 치소(治所)가 자리잡고 있었던 지역으로 이 지역을 조선시대 곡물 보관 대여 기관인 사창(社倉)이 있어 ‘사창(社倉)’이라고 불러 오다가 조선조말(朝鮮朝末)에 이르러 교동(校洞), 서정(西亭), 죽천(竹泉), 본토(本土) 등으로 마을 이름을 구분해 부르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폐합(行政區域廢合) 당시 당동리(堂洞里)로 개칭하여 서정, 죽천, 본토를 당동2리(堂洞2里)로 불러오다가 1970년도에 본토(本土)마을이 당동3리(堂洞3里)로 분리됨에 따라 서정(西亭), 죽천(竹泉)마을은 당동2리(堂洞2里)가 되었다.
당동3구 본토(本土)마을
마을 일대는 백제시대 욕내현(浴乃縣)의 치소(治所)가 자리잡고 있었던 지역으로 이 지역을 조선시대 곡물을 보관하여 두고 흉작에 대비하여 구호해 주었던 기관인 사창(社倉)이 있어 ‘사창(社倉)’이라고 불러 오다가 조선조말(朝鮮朝末)에 이르러 교동(校洞), 서정(西亭), 죽천(竹泉), 본토(本土) 등으로 마을 이름을 구분해 부르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폐합(行政區域廢合) 당시 당동리(堂洞里)로 개칭하여 서정, 죽천, 본토를 당동2리(堂洞2里)로 불러오다가 1970년도에 본토(本土)마을이 당동3리(堂洞3里)로 분리 되었다.
남양리 남양(南陽)마을
‘남양동(南陽洞)’과 ‘와룡동(臥龍洞)’으로 나뉘어져 있었으나, 마을이 남쪽을 향하고 있다하여 남향동(南向洞)이라 하였는데 이것이 변하여 ‘남양리(南陽里)’라 칭하게 되었으며, 와룡동(臥龍洞)은 6·25후 주민들이 남양리(南陽里)로 이거해 왔다.
유봉1구 비봉(飛鳳)마을
이태익(李泰益)이 마을 입구에 느티나무(柯) 한 그루를 기념 식재하고 마을명을 ‘가목(柯木)’이라 불렀다고 전해온다. 지금은 오래되어 느티나무는 고목이 되어 없어지고 옆에 서 있던 느티나무가 고목이 되어 남아있다. 아랫마을은 풍수설에 의하면 산세가 비봉포란(飛鳳抱卵)형국이라 하여 비봉(飛鳳)이라 불려왔다. 현재는 행정구역으로 두 마을 합쳐 유봉1리(留鳳1里)라 칭하고 있다.
유봉2구 유봉(留鳳)마을
마을 지형이 ‘봉황(鳳凰)이 새끼를 품고 있는 형국 같다’하여 ‘유봉(留鳳)’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땅이 점토여서 ‘사기점골’이라 부르기도 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에 따라 유봉2리(留鳳2里)라 부르고 있다.
동계1구 동계(桐溪)마을
마을앞에 맑은 시냇물(溪)이 흐르고 주변에 오동나무(桐)가 무성하여 동계리(桐溪里)라 명명하였다.
동계2구 창기(昌基)마을
효령대군(孝寧大君)이 피신차 이곳에 와서 식량 창고를 마을앞에 건립하여 사용하였다고 해서 창기(昌基)마을이라 불러왔다.
동계3구 삼송(三松)마을
신유봉(神遊峰) 기슭 아래 위치하여 마을명을 ‘광대(廣大)골’이라 하였는데, 어느 도승이 지나가다 ‘삼송리(三松里)’로 마을명을 바꾸라고 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고 전한다.
원달1구 건모(乾毛)마을
산골 마을로 농토(農土)가 협소하여 풀(毛)을 뜯어 말려서(乾) 우장(雨裝) 등을 만들어 팔아 생활을 하였다는데서 ‘건모(乾毛)’마을이라 불리었다고 전한다.
원달2구 원달(元達)마을
원달사(元達寺)라는 사찰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원달마을은 윗마을과 아랫마을이 150여 마지기의 전답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으며, 샛뜸, 감나무뜸, 음지뜸, 양지뜸으로 구분하여 부른다.
고치리 고치(古致)마을
마을이 아랫마을과 윗마을로 나뉘어 있었는데, 아랫마을은 ‘고치리(古致里)’, 윗마을은 산죽(山竹, 신우죽)이 많다 하여 ‘신대리(新垈里)’라 불러온 두 마을을 합하여 1914년부터 고치리(古致里)라 개칭, 현재에 이르고 있다. 신대리(新垈里)는 6·25때 폐촌되었다.
용정1구 용정(龍亭)마을
마을 뒷산의 줄기가 용(龍)이 꿈틀거리듯 5개의 구릉(丘陵)이 이어져 마을 앞으로 뻗어내렸기에 마을 이름을 ‘오릉동(五陵洞)’이라 호칭하다가 1914년에 ‘용정리(龍亭里)’로 개칭하였으며 행정구역으로 ‘용정1리(龍亭1里)’가 되었다.
용정2구 북소(北沼)마을
처음에는 ‘송정(松亭)’이라 불렀으나 백제시대 죽곡면 남양리에 소재했던 와룡사(臥龍寺)에 빈대가 많아 폐사되고 현 북소마을 건너편에 의압사(義鴨寺)를 창건하여 큰 북을 의압사(義鴨寺)로 옮기던 중, 강을 건너다 큰 북을 강에 빠뜨렸다 하여 ‘북소(北沼)’라 불렸다 전해온다.
하한1구 하한(下汗)마을
이주민들이 원래 자리잡았던 마을터는 현 마을에서 500m쯤 위쪽으로 주민들은 이 지역을 일러 ‘월평지(月坪地)’라고 부르고 있다. 마을앞 순산(巡山)에 떠오르는 보름달을 관망하기 좋은 지대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죽곡면(竹谷面) 지역으로 한배미 아래가 되므로 ‘아래 한배미’또는 ‘하한전 하한(下汗前下汗)’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폐합(行政區域廢合)에 따라 상한리(上汗里), 조사리(助沙里)를 병합하여 하한(下汗)이라 하고 하한1리(下汗1里)라 칭하고 있다.
하한2구 상한(上汗)마을
상한리(上汗里)는 한배미 위가 되므로 ‘웃한배미’라 불리웠는데 914년 행정구역폐합(行政區域廢合)에 따라 상한리(上汗里), 조사리(助沙里)를 병합하여 ‘하한(下汗)’이라하고 행정구역상 하한2리(下汗2里)라 칭하고 있다. 마을이 해발 350m지점에 자리잡고 있어 7, 8월이 되면 높은 산지에서 볼 수 있는 백합과 하늘말나리 꽃이 많이 자생한다고 하여 마을의 애칭으로 ‘하늘나리마을’이라 명명했다.
하한3구 조사(助沙)마을
마을 앞쪽으로 섬진강(蟾津江)이 흐르면서 햇볕에 반사되는 모래더미가 있어 ‘조사(助沙)’라 불리웠으나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병합에 따라 하한리(下汗里)에 속해 있다가 하한3구(下汗3區)로 분구 되었다.

죽곡면이라는 고향의 지명은 어떠한 내용이 담겨져 있을까요?

역사적으로 보면 죽곡면은 백제 22대 문중왕 때부터 군 명을 옥내라고 칭하고 읍지를 당동리에 두었다고 하며, 신라 경덕왕 16년(서기757년)에 군명을 곡성이라 개칭하였고 고려 창왕 말년(1389년)에 당동 읍을 곡성읍 읍내리로 이속함에 따라 곡성군에 속하였는데 우리 면이 죽곡면으로 명명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고 합니다. 이때부터 죽곡면이라는 이름으로 전해져 이어오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죽곡면은 대나무밭골(대실)이라는 이름입니다.
죽곡의 마을 마다 대밭이 있고 대나무가 잘 자라고 있는 지역이지만 농토가 좁은 지역이여서 논밭으로 개간이 되어 대밭으로 가꾸어지지 못하고 대나무 밭이 줄어들게 되었으며 현재에는 대나무로 인한 산업적인 혜택을 받고 있지 못하는 실정으로 축소되었습니다. 하죽리 마을 앞에는 무성한 대나무 밭이 있어 하죽리라고 했는데 이 대나무가 100년이 되어야만 꽃이 피고 열매가 맺게 되는데 이 열매가 죽실이며, 죽실이 많다고 하여 죽실마을이 있었습니다.

죽곡의 산과 강

죽곡면내의 마을이 14개리 28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죽곡면내의 산을 보면 봉정리 주변에 통명산(764.8m), 천덕산(673.7m), 곤방산(714.8m), 주부산(678.4n)이 있고 화양리와 태평리, 연화리의 뒤에 화장산(503m)이 있으며, 삼태리의 고장산(503.5m), 하죽리의 뒤에 청룡봉(172.4m), 남양리에 바루봉(454.2m), 북소 앞의 국사봉(192m), 하한리의 응봉(570.8m), 구룡리의 비래봉(690.9m), 동계리 뒤의 동리산, 유봉리의 봉두산(752.8m) 등이 있습니다. 봉정리에서 발원하여 흘러 온 죽곡천과 동리산에서 흘러 온 동계천이 대황강(보성강의 하류 일부)과 만나서 합류하여 압록지점에서 섬진강과 합쳐 구례군을 거쳐서 하동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보성강의 물이 보성군의 제암산에서 발원을 하여 주암땜에 모여서는 한 때 순천과 여수 목포 등 전남 광주 전 주민의 식수원이 되고 있는 물이어서 아주 귀중한 존재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죽곡면은 보성강물이 압록에서 끝나는 특수한 형태의 지역으로, 산이 좋고 물이 맑은 천혜의 보고 지역입니다. 죽곡강이 보성강과 만나는 곳 태평리의 앞 강터에는 커다란 모래섬(섬터)이 형성이 되어 있고 소나무와 잡나무 등이 자라는데 가을철에 태풍이 불고 비가 많이 내리는 때에는 강 상류에서 흘러서 온 황토물(북덩물)이 섬터를 넘쳐서 흐르게 되고 풀이나 나무 가지 등이 떠내려 흘러가다가 섬터의 나무에 걸려있기도 하는 장면을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이렇게 물이 넘칠 때에는 섬터의 하류 부분에 V자 모양으로 물길을 돌로 쌓아서 막고 나뭇가지를 역어 막아서 물고기가 쉽게 갈 수 없게 만든 후 물이 모아지는 중앙 하류 부분에 물의 낙차를 만들고 그 아래에 대나무로 얽어서 받힘 대를 만들어 이를 낙차의 아래 쪽에 받히는 장치인 계(?)를 만들어 장치를 해놓으면 봄철에 상류로 올라갔던 은어, 민물장어, 참계, 쏘가리 등의 어종들이 자라서 떠내려 오다가 계에 걸리게 되는데 이 때 잡히는 물고기의 양이 엄청나게 많았고, 평상시에도 물고기가 잡혀서 주민의 생선 감 제공의 역할을 했었습니다. 봉정리 2구에는 옛날에 대나무 밭이 크게 이루어져 있어 죽성리라고 불렀고, 봉정리 1구에는 오동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봉황새 이야기

예로부터 평화와 부(富) 그리고 부부애를 상징하는 새가 봉황새인데 이 봉황새는 오동나무에 주리를 틀고~집을 짓고~ 죽실을 먹고 산다고 하는데 이 새가 살기에 알맞은 곳이 바로 죽곡 지역이고 한 쌍이 있었는데 봉정 지역과 동계리 지역에 살고 있었다는 마을 명으로 보는 전설이 있습니다. 봉정리는 봉황새가 살았다는 뜻으로 봉정이라고 했는데 장자산을 봉황새의 몸통으로 하고 통명산과 천덕산을 양 쪽의 날개로 하며 단산당등을 봉의 머리로, 마을 앞에 있는 큰 바위를 봉황새의 알로 하는 형상으로 “날라서 온 봉황새가 알을 품고 있는 모습” 즉 포란비봉형(抱卵飛鳳形) 형상으로 봉정리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또 한 마리의 봉황새는 동계골로 가서 찾아보겠습니다. 동계리는 오동(梧桐)나무가 무성하게 자라고 있다고 하여 오동나무골 桐溪里(동계리)로 불리어져 있고 조금 더 올라서 가면 오동나무 들거리라는 산으로 동리산(桐裡山)이 있는데 이 산에 태안사(泰安寺) 사찰이 있습니다. 조금 더 올라가면 비봉리가 있는데 봉황새가 날아서 이 마을에 왔다는 뜻으로 비봉(飛鳳)이라고 하였습니다. 더 올라가면 유봉리라는 마을이 있는데 날아 온 봉황새가 머무르며 알을 품고 있다는 비봉포란(飛鳳抱卵)으로 비봉과 유봉이 봉황새와 관계가 있는 이름입니다. 조금 더 올라가면 비래봉과 봉두산이 있는데 이는 날아서 온(비래) 봉황새가 앉아있는 모습으로 봉황새의 머리가 되는 곳이 봉두산이 된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죽곡에 한 쌍의 봉황새가 평화를 누리며 태평하게 살아가는 곳이 죽곡면 즉 대나무밭골(대실)인데 죽곡면 소재지의 마을 명칭을 태평리라고 명명하여 죽곡면의 온 면민이 태평을 누리고 평안하게 부를 누리며 산다는 뜻으로 태평리라고 한 것입니다.

태안사와 마을들

또 동리산에 있는 사찰은 태안사(泰安寺)로 죽곡의 태안을 빌어주는 듯하여 더욱 마음이 포근합니다. 신풍 1.2구(신풍리와 반송리)에는 새롭게 풍년을 빈다는 뜻이 있어 신풍이라고 하였고, 반송리에는 반송사라는 옛 큰절이 있었다는 곳이며 시조를 모시는 기성전이 있었다고 합니다. 연화리에는 큰 연못이 있어 연꽃이 많이 피었다는 전설이 있어 연화리라고 하였고 삼태리에는 고장산, 화장산, 석장골의 3장이 있고 연속해서 세봉오리가 나란히 위치하고 있어 삼태리라고 했답니다. 당동은 옛 옥천현의 읍리로 이어왔고 서정 죽천 마을로 이어 온 대나무가 무성한 마을이었습니다.
남양리는 남쪽을 향해 있다고 하여 남양리라고 하였고 북소는 대황강(보성강)의 물이 맴돌아 흘러서 생긴 깊은 소가 형성되어 있었는데 그 속에서 북소리가 크게 울리며 들렸다고 북소라고 하였으며 원달 마을은 옛날 원달사라는 절이 있다고 원달이라고 하였고 고치리에는 산죽 즉 신우대가 많다고 고치리라고 하였습니다. 용정 마을은 마을 뒷산의 줄기가 용과 같이 5개의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용정이라고 하였으며 하한리는 상한리와 하한리가 합쳐져서 되었는데 죽곡의 한 배미의 위와 아래가 된다고 하여 상한, 하한이라고 불렀다고 하였습니다.
이렇게 죽곡은 면 행정의 고장이지만 물이 맑고 산이 푸르러 천연의 보고를 이루고 있어 이 고을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언제나 건강과 행복이 보장되는 고을이었으며 봉황새 한 쌍이 행복스럽게 살고 있었다는 전설이 있는 고장입니다.

출처 : 광주 죽곡향우회지(만호 하기택 선생님 글)

콘텐츠관리

  • 담당부서 죽곡면
  • 담당자 박춘수
  • 연락처 061-360-7612
  • 최종수정일 2024-01-26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