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날씨

곡성
소통

  • 페이스북
  • 유튜브
  • 블로그
  • 인스타그램
  • 카카오톡

지명유래

본문

겸면 지명유래

현정1, 현정2, 가정1, 가정2, 평장1, 평장2, 마전마을, 산정마을, 상덕1, 상덕2, 괴정1, 괴정2, 괴정3, 괴정4, 대명1, 대명2, 송강1, 송강2, 운교1, 운교2, 칠봉마을, 남양마을 지명유래
현정1구 지리(只里)마을
처음 설촌 당시의 마을명은 ‘서정동(西亭洞)’이라 칭하였다. 현재의 새터로 옮겨오면서 ‘지곡리(芝谷里)’라 불렀다 전한다. 그 후 당시 관내(管內)에 있던 면의 치소(治所)가 남양리(南陽里)로 옮겨감에 따라 ‘지리(只里)’로 개칭(改稱)하였다. 이는 마을 뒷산인 매봉산(鷹峰山)에 지초약(芝草藥)이 자생(自生)으로 군락을 이루어 마을 이름을 ‘지곡리(芝谷里)’라 불렀으며, 일제강점기에 ‘지리(只里)’로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
현정2구 현정(玄亭)마을
마을의 형세가 학의 터로서 ‘학이 천년을 살면 검어진다’는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에 따라 자손들의 백대천손(百代千孫)을 누리기를 기원하는 뜻으로 속칭 ‘검징이’, 행정명으로 ‘현정(玄亭)’이라 부르고 있다.
가정1구 심정(深井)마을
처음 입향조(入鄕祖)들이 터를 닦을 당시 마을지형을 풍수지리적으로 연화도수(蓮花到水)형국으로 인식했으며 ‘물 맛이 좋은 우물(井)을 찾았다(尋)’ 하여 ‘심정(尋井)’이라고 했으나 일제강점기 말엽 ‘심정(深井)’으로 마을명을 바꾸었다 전한다.
가정2구 가정(柯亭)마을
마을 형국(形局)이 개(犬) 형국(形局) 즉, ‘개가 앉아 뒤쪽을 돌아보는 형국으로, 개(犬)의 형태를 닮았다하여 옛부터 속칭 ‘개정자’라 불러왔다. 즉, 마을앞의 왕버들 당산나무가 상하(上下)로 조화를 이루고 있어 개의 입과 꼬리에 해당된다는 것이다. 1914년 행정구역 변경 당시 마을명을 ‘가정리(柯亭里)’로 명명, 현재에 이르고 있다.
평장1구 평장(平章)마을
마을 뒷산의 풍수지리적 형국이 용 머리에 해당된다 하여 용두산(龍頭山)이라 부르고 있으며, 마을은 ‘용의 목덜미(項)’에 해당된다 하여 ‘항촌(項村)’이라 속칭하여 전해 내려오다가 행정구역(行政區域) 개편 당시 마을이 평평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하여 ‘평장(平章)’이라 개칭하였다.
평장2구 원평(元平)마을
마을 터가 ‘매봉산’밑에 자리하여 처음에는 ‘은산촌(隱山村)’이라 부르다가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개편시 ‘평장(平章)’이라 칭하였으며, 행정구역명으로 평장2리(平章2里)가 되었다. 이처럼 처음엔 마을명을 ‘평장(平章)’이라 칭하다가 해방 후 ‘원(元)’자를 더하여 ‘원평(元平)’이라 개칭해 불러오고 있다.
마전리 마전(馬田)마을
마전리 마을의 옛 이름은 ‘거북이가 물가로 기어가는 형국’인 구정리(龜汀里)이다. 그 후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조정 당시 현재의 지명인 마전리(馬田里)로 부르게 되었다.
산정리 산정(山亭)마을
원래는 현 마을터에서 500m쯤 북동쪽에 위치한 ‘세우(細雨)골’에 남향으로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어느땐가 돌림병이 크게 돌아 주택을 불태우고, 현재의 산정리(山亭里)마을터로 이주해 들어왔다고 전한다. 옛 마을 지명은 정확히 전해오지 않으나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통폐합에 따라 산정리(山亭里)로 명명했으며, 마을의 동쪽, 저수지 위쪽에 위치한 ‘등골’또는 ‘등동(燈洞)마을’을 병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상덕1구 상덕(上德)마을
겸면의 주산(主山)인 장파봉(將破峰)의 남쪽 품안에 싸인듯 자리잡은 마을로 양지(陽地)쪽에 위치한 까닭에 추운 겨울에도 온기(溫氣)가 가시지 않아 ‘매화(梅花)나무’가 무성했다 하여 ‘덕매(德梅)’라고 불러왔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웃덕매’를 ‘상덕(上德)’으로 개칭하여 현재 행정구역상 ‘상덕1리(上德1里)’가 되었다.
상덕2구 회화(檜花)마을
마을 동서쪽에 설촌 당시 심은 커다란 회(檜)나무가 3그루가 있다. 수년만에 한번씩 꽃이 피면 그 향기가 온 마을에 가득하고 경사가 끊이지 않아 마을나무(洞木)로 정하고 마을 이름도 회화리(檜花里)라 칭하고 있다. 행정구역상 ‘상덕2리(上德2里)’가 되었다.
괴정1구 괴정(槐亭)마을
마을의 상징수(象徵樹)인 400여년 묵은 느티나무(槐)가 마을뒤 대나무 숲에 자생하고 있어 ‘괴정자’ 또는 ‘괴정리(槐亭里)’라 했다. 원래 마을 터는 대나무 숲 뒤쪽에 자리잡고 있었으나 점차 햇볕이 한결 따뜻하고 온화한 느티나무 아래쪽으로 주택들이 내려와 자리잡게 되었다.
괴정2구 초곡(焦谷)마을
마을은 동악산(動樂山) 준령(俊嶺) 해발 250m의 심산유곡(深山幽谷)에 터를 잡고 있어 수목(樹木)이 무성하고 뱁새(秒)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어 속칭 ‘비엄실’이라 불렀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한자화하여 ‘초곡(焦谷)’이라 칭하였다.
괴정3구 신흥(新興)마을
원래는 마을 뒷산 골짜기의 웅덩이에서 용(龍)이 노는 것을 보았다 하여 ‘소룡리(巢龍里)’ 또는 ‘소룡굴’이라 칭하였으나 마을이 흥성하게 일어나고 더욱 더 마을이 발전하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아 ‘신흥리(新興里)’라 명명(命名)하였다.
괴정4구 흥복(興福)마을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주막거리’에서 누룩으로 술을 빚어 팔아왔으므로 ‘누룩징이’라고 부르다가 호수(戶數)가 많아지면서 동네가 부흥하기를 비는 뜻에서 ‘흥복(興福)’이라 명명하였다.
대명1구 대명(大明)마을
마을 옆에는 우뚝 솟은 필봉(筆峰)이 있고, 뒷동산은 마을을 호위하면서 활(弓)의 형태를 갖추었으며, 마을을 감고 흐르는 천(川)은 활끈으로, 앞 들에 서 있는 암석은 화살로 인식한 것이다. 이같은 마을의 형태에 따라 마을의 후손들이 경향각지(京鄕各地)에 명성을 크게 울린다(鳴) 하여 ‘대명동(大鳴洞)’이라 명명(命名)했다. 그후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통합 당시 ‘대명리(大明里)’로 개칭되었다.
대명2구 백운(白雲)마을
설촌 당시, 서당을 세워 학동들에게 글을 가르치던 곳이라 하여 ‘서당(書堂)골’ 또는 ‘공부 배우러 간다’하여‘배운동’이라고도 불렀다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마을 뒤로 둘러쳐진 ‘산자락이 하늘을 가린다’는 차일봉(遮日峰)이 병풍처럼 둘러쳐 있고, 차일봉의 품 속에 상서로운 흰구름이 끊임없이 감돈다 하여 ‘백운동(白雲洞)’이라 명명(命名)했다고 전해온다.
송강1구 송강(松江)마을
예로부터 전해오는 전설에 따르면,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 스님이 정혜결사를 옮기기 위한 터를 잡기 위해 솔개 3마리를 날렸더니 그 중 한마리가 순천 송광사(順天松廣寺)이며, 또 한 마리는 해남 대흥사(海南大興寺)이고, 나머지 한마리가 현재의 송강리 마을에 떨어졌다는 것이다. 마을의 동명(洞名)을 지을 때, 이같은 전설을 참고하여 송광사(松廣寺)의 ‘송(松)’자를 택하고, 마을 앞에는 맑은 물이 흐른다 하여 ‘강(江)’자를 붙여 ‘송강리(松江里)’라 칭하게 되었다 한다.
송강2구 대흥(大興)마을
마을의 풍수지리학적 지세는 황금거북이가 알을 품은 금구몰니형국(金龜沒泥形局)으로 거북이가 엎드린 머리방향은 서북(西北)방향, 비교적 수원(水源)이 적은 편이지만 간이급수와 양수장(揚水場)으로 이를 해결하여 마을이 융성하므로 대흥리(大興里)라 칭하고 있다. 행정구역상 송강2리(松江2里)이다.
운교1구 운교(雲橋)마을
운교(雲橋), 즉 ‘구름다리’라는 지명은 마을 뒤편 칠봉산(七峰山) 봉우리에서 ‘하느재(天峙)’를 잇는 높고 커다란 구름다리 같은 것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행정구역상 운교1리(雲橋1里)이다.
운교2구 죽산(竹山)마을
옛 마을명은 지나가는 과객들이 쉬어가는 ‘당산나무가 서 있는 마을’이라는 뜻의 ‘당산몰’이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마을 동산과 주변에 대나무 즉, 죽림(竹林)이 무성하다 하여 ‘죽산(竹山)’이라 칭하게 되었다.
칠봉리 칠봉(七峰)마을
마을 뒷산의 산봉우리 7개가 우뚝우뚝 봉우리져 있다 하여 ‘칠봉리(七峰里)’라고 입향시조(入鄕始祖)가 직접 명명하였다 전한다.
남양리 남양(南陽)마을
겸면의 주봉(主峰)인 장파봉(將破峰)의 산자락 아래에 정남향(正南向)으로 자리잡고 있어 사철 햇볕이 끊이지 않으므로 ‘남양리(南陽里)’라 명명했다 전한다.

콘텐츠관리

  • 담당부서 겸면
  • 담당자 김형민
  • 연락처 061-360-8012
  • 최종수정일 2024-01-29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