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ome
로그인
주요사이트
열기
곡성군청
문화관광
열린군수실
곡성군의회
읍·면 홈페이지
섬진강 기차마을
곡성교육포털
귀농귀촌센터
농특산물중개몰
곡성군계약정보공개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보건의료원안내
인사말
보건의료원 연혁
조직 및 업무
찾아오시는길
보건지소/진료소 현황
보건의료서비스 헌장
지역보건의료계획
보건위생사업안내
주요사업안내
건강생활실천사업
건강팔팔마을
신체활동
영양
절주
비만예방
모바일 헬스케어
구강보건사업
모자보건사업
임산부건강관리
영유아건강관리
임산부 지원 신청
정신보건사업
정신보건사업
치매안심센터운영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
방문보건사업
방문건강관리사업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지역사회재활사업
한의약건강증진사업
의료비지원안내
국가암조기검진사업
암환자 치료비 지원
희귀·난치성질환 의료비 지원사업 안내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
의료비지원 온라인 신청
식품관리
식품위생영업안내
식품위생영업자준수사항
식품위생 시설기준
공중위생영업안내
공중위생영업자 준수사항
공중위생영업시설기준
건강기능식품 판매 등 안내
식중독 관리 및 예방
음식점 위생등급제 지정 운영
남도좋은식단
식품진흥기금 융자안내
금연사업
민원안내
제증명발행
채용신체검사서
건강진단서
적성검사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운전면허발급요건
제증명발급 종합 수수료표
온라인 제증명발행
의약업소민원
의료기관안내
모기발생방역신고센터
진료안내
진료시간
진료안내
검사안내
주민건강검진
협약병원
예방접종/감염병
예방접종이란
영유아예방접종
영유아예방접종(총16종)
BCG(결핵)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뇌수막염
소아폐렴
Polio(소아마비)
MMR(홍역,볼거리,풍진)
수두
일본뇌염(사백신,생백신)
A형간염
인플루엔자
자궁경부암
일반예방접종
예방접종 주의사항
국가보상이되는예방접종
감염병예방
방역사업
장내기생충퇴치사업
AIDS익명검사
열린공간
상담 및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공지게시판
진료·검사현황 조회
곡성군 SNS 바로가기
페이스북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그램
곡성군청
문화관광
열린군수실
곡성군의회
읍·면 누리집
주요누리집
열기
섬진강기차마을
교육포털
귀농귀촌센터
농특산물중개몰
곡성군계약정보공개
로그인
전체메뉴
전체메뉴열기
검색창 열기
통합검색
검색
통합검색 닫기
통합검색
검색
오늘의 날씨
보건의료원안내
인사말
보건의료원 연혁
조직 및 업무
찾아오시는길
보건지소/진료소 현황
보건의료서비스 헌장
지역보건의료계획
보건위생사업안내
주요사업안내
건강생활실천사업
건강팔팔마을
신체활동
영양
절주
비만예방
모바일 헬스케어
구강보건사업
모자보건사업
임산부건강관리
영유아건강관리
임산부 지원 신청
정신보건사업
정신보건사업
치매안심센터운영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
방문보건사업
방문건강관리사업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지역사회재활사업
한의약건강증진사업
의료비지원안내
국가암조기검진사업
암환자 치료비 지원
희귀·난치성질환 의료비 지원사업 안내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
의료비지원 온라인 신청
식품관리
식품위생영업안내
식품위생영업자준수사항
식품위생 시설기준
공중위생영업안내
공중위생영업자 준수사항
공중위생영업시설기준
건강기능식품 판매 등 안내
식중독 관리 및 예방
음식점 위생등급제 지정 운영
남도좋은식단
식품진흥기금 융자안내
금연사업
민원안내
제증명발행
채용신체검사서
건강진단서
적성검사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운전면허발급요건
제증명발급 종합 수수료표
온라인 제증명발행
의약업소민원
의료기관안내
모기발생방역신고센터
진료안내
진료시간
진료안내
검사안내
주민건강검진
협약병원
예방접종/감염병
예방접종이란
영유아예방접종
영유아예방접종(총16종)
BCG(결핵)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뇌수막염
소아폐렴
Polio(소아마비)
MMR(홍역,볼거리,풍진)
수두
일본뇌염(사백신,생백신)
A형간염
인플루엔자
자궁경부암
일반예방접종
예방접종 주의사항
국가보상이되는예방접종
감염병예방
방역사업
장내기생충퇴치사업
AIDS익명검사
열린공간
상담 및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공지게시판
진료·검사현황 조회
주요사업안내
GOKSEONG COUNTY
건강생활실천사업
건강팔팔마을
신체활동
영양
절주
비만예방
모바일 헬스케어
구강보건사업
모자보건사업
임산부건강관리
영유아건강관리
임산부 지원 신청
정신보건사업
정신보건사업
치매안심센터운영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
방문보건사업
방문건강관리사업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지역사회재활사업
한의약건강증진사업
의료비지원안내
국가암조기검진사업
암환자 치료비 지원
희귀·난치성질환 의료비 지원사업 안내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
의료비지원 온라인 신청
식품관리
식품위생영업안내
식품위생영업자준수사항
식품위생 시설기준
공중위생영업안내
공중위생영업자 준수사항
공중위생영업시설기준
건강기능식품 판매 등 안내
식중독 관리 및 예방
음식점 위생등급제 지정 운영
남도좋은식단
식품진흥기금 융자안내
금연사업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일부기능이 작동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식품위생 시설기준
HOME
주요사업안내
식품관리
식품위생 시설기준
SNS 공유 열기
Facebook으로 내보내기
Twitter로 내보내기
밴드로 내보내기
카카오스토리로 내보내기
SNS 공유 닫기
주소복사하기
인쇄하기
본문
식품접객업의 시설기준
영업장
독립된 건물이거나 식품접객업의 영업허가를 받거나 영업신고를 한 업종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시설과 분리, 구획 또는 구분되어야 한다.
업장은 연기·유해가스등의 환기가 잘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음향 및 반주시설을 설치하는 영업자는 「소음·진동관리법」제21조에 따른 생활소음·진동이 규제기준에 적합한 방음장치 등을 갖추어야 한다.
공연을 하려는 휴게음식점·일반음식점 및 단란주점의 영업자는 무대시설을 영업장 안에 객석과 구분되게 설치하되, 객실 안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동물보호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동물의 출입, 전시 또는 사육이 수반되는 시설과 직접 접한 영업장의 출입구에는 손을 소독할 수 있는 장치, 용품 등을 갖추어야 한다.
조리장
조리장은 손님이 그 내부를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한다. 다만, 영 제21조제8호바목에 따른 제과점영업소로서 같은 건물 안에 조리장을 설치하는 경우와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2호가목 및 같은 항 제3호마목에 따른 관광호텔업 및 관광공연장업의 조리장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조리장 바닥에 배수구가 있는 경우에는 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조리장 안에는 취급하는 음식을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리시설·세척시설·폐기물용기 및 손 씻는 시설을 각각 설치하여야 하고, 폐기물용기는 오물·악취 등이 누출되지 아니하도록 뚜껑이 있고 내수성 재질로 된 것이어야 한다.
1명의 영업자가 하나의 조리장을 둘 이상의 영업에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같은 건물 내에서 휴게음식점, 제과점, 일반음식점 및 즉석판매제조ㆍ가공업의 영업 중 둘 이상의 영업을 하려는 경우
「관광진흥법 시행령」에 따른 전문휴양업, 종합휴양업 및 유원시설업 시설 안의 같은 장소에서 휴게음식점·제과점영업 또는 일반음식점영업 중 둘 이상의 영업을 하려는 경우
삭제 <2017. 12. 29.>
제과점 영업자가 식품제조ㆍ가공업 또는 즉석판매제조ㆍ가공업의 제과·제빵류 품목 등을 제조·가공하려는 경우
제과점영업자가 다음의 구분에 따라 둘 이상의 제과점영업을 하는 경우
기존 제과점의 영업신고관청과 같은 관할 구역에서 제과점영업을 하는 경우
기존 제과점의 영업신고관청과 다른 관할 구역에서 제과점영업을 하는 경우로서 제과점 간 거리가 5킬로미터 이내인 경우
조리장에는 주방용 식기류를 소독하기 위한 자외선 또는 전기살균소독기를 설치하거나 열탕세척소독시설(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등이 살균될 수 있는 시설이어야 한다. 이하 같다)을 갖추어야 한다. 다만, 주방용 식기류를 기구등의 살균ㆍ소독제로만 소독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충분한 환기를 시킬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다만, 자연적으로 통풍이 가능한 구조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 중 식품별 보존 및 유통기준에 적합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 냉장시설 또는 냉동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조리장 내부에는 쥐, 바퀴 등 설치류 또는 위생해충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해야 한다.
급수시설
수돗물이나 「먹는물관리법」 제5조에 따른 먹는 물의 수질기준에 적합한 지하수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지하수를 사용하는 경우 취수원은 화장실·폐기물처리시설·동물사육장, 그 밖에 지하수가 오염될 우려가 있는 장소로부터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화장실
화장실은 콘크리트 등으로 내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다만, 공중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는 역·터미널·유원지 등에 위치하는 업소, 공동화장실이 설치된 건물 안에 있는 업소 및 인근에 사용하기 편리한 화장실이 있는 경우에는 따로 화장실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화장실은 조리장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정화조를 갖춘 수세식 화장실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상·하수도가 설치되지 아니한 지역에서는 수세식이 아닌 화장실을 설치할 수 있다.
단서에 따라 수세식이 아닌 화장실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변기의 뚜껑과 환기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화장실에는 손을 씻는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공통시설기준의 적용특례
공통시설기준에도 불구하고 다음의 경우에는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시·도에서 음식물의 조리·판매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시·도지사)이 시설기준을 따로 정할 수 있다.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전통시장에서 음식점영업을 하는 경우
해수욕장 등에서 계절적으로 음식점영업을 하는 경우
고속도로·자동차전용도로·공원·유원시설 등의 휴게장소에서 영업을 하는 경우
건설공사현장에서 영업을 하는 경우
지방자치단체 및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인정한 생산자단체등에서 국내산 농·수·축산물의 판매촉진 및 소비홍보 등을 위하여 특정장소에서 음식물의 조리·판매행위를 하려는 경우
「전시산업발전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전시시설에서 휴게음식점영업, 일반음식점영업 또는 제과점영업을 하는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주최, 주관 또는 후원하는 지역행사 등에서 휴게음식점영업, 일반음식점영업 또는 제과점영업을 하는 경우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에 따른 국제회의시설에서 휴게음식점, 일반음식점, 제과점 영업을 하려는 경우
그 밖에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별도로 지정하는 장소에서 휴게음식점, 일반음식점, 제과점 영업을 하려는 경우
「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제10조에 따라 농어촌체험·휴양마을사업자가 농어촌체험·휴양프로그램에 부수하여 음식을 제공하는 경우로서 그 영업시설기준을 따로 정한 경우에는 그 시설기준에 따른다.
백화점, 슈퍼마켓 등에서 휴게음식점영업 또는 제과점영업을 하려는 경우와 음식물을 전문으로 조리하여 판매하는 백화점 등의 일정장소(식당가를 말한다)에서 휴게음식점영업·일반음식점영업 또는 제과점영업을 하려는 경우로서 위생상 위해발생의 우려가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각 영업소와 영업소 사이를 분리 또는 구획하는 별도의 차단벽이나 칸막이 등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업종별시설기준
휴게음식점영업·일반음식점영업 및 제과점영업
일반음식점에 객실(투명한 칸막이 또는 투명한 차단벽을 설치하여 내부가 전체적으로 보이는 경우는 제외한다)을 설치하는 경우 객실에는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없다.
휴게음식점 또는 제과점에는 객실(투명한 칸막이 또는 투명한 차단벽을 설치하여 내부가 전체적으로 보이는 경우는 제외한다)을 둘 수 없으며, 객석을 설치하는 경우 객석에는 높이 1.5미터 미만의 칸막이(이동식 또는 고정식)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2면 이상을 완전히 차단하지 아니하여야 하고, 다른 객석에서 내부가 서로 보이도록 하여야 한다.
기차·자동차·선박 또는 수상구조물로 된 유선장(遊船場)·도선장(渡船場) 또는 수상레저사업장을 이용하는 경우 다음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1일의 영업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구성이 있는 식수탱크
1일의 영업시간에 발생할 수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처리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오물통 및 폐수탱크
음식물의 재료(원료)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시설
영업장으로 사용하는 바닥면적(「건축법 시행령」 제11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산정한 면적을 말한다)의 합계가 100제곱미터(영업장이 지하층에 설치된 경우에는 그 영업장의 바닥면적 합계가 66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9조제1항에 따른 소방시설등 및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그 밖의 안전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다만, 영업장(내부계단으로 연결된 복층구조의 영업장을 제외한다)이 지상 1층 또는 지상과 직접 접하는 층에 설치되고 그 영업장의 주된 출입구가 건축물 외부의 지면과 직접 연결되는 곳에서 하는 영업을 제외한다.
휴게음식점·일반음식점 또는 제과점의 영업장에는 손님이 이용할 수 있는 자막용 영상장치 또는 자동반주장치를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연회석을 보유한 일반음식점에서 회갑연, 칠순연 등 가정의 의례로서 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일반음식점의 객실 안에는 무대장치, 음향 및 반주시설, 우주볼 등의 특수조명시설을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건물의 외부에 있는 영업장에는 손님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건축법」 등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시설ㆍ설비 또는 기구 등을 설치해야 한다.
단란주점영업
영업장 안에 객실이나 칸막이를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다음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객실을 설치하는 경우 주된 객장의 중앙에서 객실 내부가 전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설비하여야 하며, 통로형태 또는 복도형태로 설비하여서는 아니 된다.
객실로 설치할 수 있는 면적은 객석면적의 2분의 1을 초과할 수 없다.
주된 객장 안에서는 높이 1.5미터 미만의 칸막이(이동식 또는 고정식)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2면 이상을 완전히 차단하지 아니하여야 하고, 다른 객석에서 내부가 서로 보이도록 하여야 한다.
객실에는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없다.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9조제1항에 따른 소방시설등 및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그 밖의 안전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유흥주점영업
객실에는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없다.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9조제1항에 따른 소방시설등 및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그 밖의 안전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곡성군청에서 제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관리
담당부서
보건사업과
담당자
선보경
연락처
061-360-8941
최종수정일
2023-08-2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